Swift 기본 문법(2)
-
defer
Swift를 사용하면서 거의 잘 활용하진 않았지만, 꽤나 흥미롭게 다가와 이 문법을 정리하게 되었다. 0. defer란 무엇인가? 현재 스코프를 벗어날 경우 가장 마지막에 실행이 되는 구문이다. 처음 보면 이해가 잘 가지 않겠지만 예시를 이해하다 보면 생각보다 금방 이해할 수 있다. 1. defer 활용해보기 위와 같이 구성을 한 후 결과를 출력해보았다. 그랬더니 b, a, c 순서대로 출력이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.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defer는 함수의 가장 마지막에 실행이 된다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다. 1-1. defer 여러개 쓰기 그렇다면 defer를 여러개로 쓰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? 이렇게 defer를 여러개 쓰게 된다면 2, 1 순서로 출력된다. defer는 스택의 형식으로 사용되며..
2022.05.24 -
lazy var 정리
이번에 미세먼지 앱을 만들어 보면서 lazy란 개념을 공부했습니다. 기존에 lazy라는 게 있다고 들어는 봤지만, 어떻게 쓰는지도 몰랐고 왜 쓰는지도 몰랐어요. 하지만 이번 기회에 왜 쓰는지 정리해보고 싶어서 공부를 시작해보았습니다. lazy는 초기 init시에 초기화되는 것이 아니라 호출될 때 생성이 되면서 메모리에 올라가며 이후 같은 변수를 사용 시 다시 초기화가 진행되지 않고 이전에 생성된 변수를 그대로 사용하더라고요. 또한 클래스나 구조체 내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었습니다. 아래는 예시 코드입니다 class Person { var name: String var age: Int // 초반 init때 생성되지 않음 lazy var info: String = { return "이름 : \(s..
2021.04.13